2024년 11월 8일 금요일

문법 및 맞춤법 검사기1

문법 및 맞춤법 검사기

문법 및 맞춤법 검사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Python과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한국어 문법 규칙과 맞춤법 규칙을 기반으로 텍스트를 분석하고 오류를 교정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주로 자연어 처리(NLP) 기술이 사용됩니다. 다음은 간단한 Python 라이브러리와 방법을 통해 문법 및 맞춤법 검사기를 만드는 기본 개요입니다.

1. 기본 요구 사항

  • 언어 패키지: 한국어 문법 및 맞춤법을 검토하려면 한국어 NLP 라이브러리가 필요합니다.
  • NLP 라이브러리: Python에서는 KoNLPy, PyKoSpacing, Hanspell 등을 사용하여 한국어 텍스트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2. 파이프라인 설계

  1. 텍스트 입력: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받습니다.
  2. 형태소 분석: KoNLPy와 같은 도구로 한국어 텍스트의 형태소를 분석합니다.
  3. 맞춤법 검사: Hanspell 또는 pyspellchecker를 사용하여 맞춤법 및 문법 오류를 확인합니다.
  4. 띄어쓰기 교정: PyKoSpacing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한국어 띄어쓰기 규칙에 맞게 텍스트를 교정합니다.
  5. 오류 수정 제안: 발견된 오류에 대한 교정 제안을 사용자에게 보여줍니다.

3. 코드 예제

다음은 Python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맞춤법 및 띄어쓰기 교정을 하는 코드 예제입니다.

python코드 복사

from hanspell import spell_checker # 맞춤법 및 문법 검사 from pykospacing import Spacing # 띄어쓰기 검사 def grammar_and_spell_checker(text): # 맞춤법 및 문법 검사 spelled_text = spell_checker.check(text) corrected_text = spelled_text.checked # 띄어쓰기 검사 spacing = Spacing() spaced_text = spacing(corrected_text) return spaced_text # 사용 예시 input_text = "이거슨 예제 텍스트입니다 많이 틀렷을 수 있습니다" corrected_text = grammar_and_spell_checker(input_text) print("교정된 텍스트:", corrected_text)

4. 문법 및 맞춤법 검사기 배포

검사기를 완성했다면 웹으로 배포하여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배포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Flask 또는 Django 웹 프레임워크: Python에서 웹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개발할 수 있습니다.
  • 클라우드 호스팅: AWS, Heroku, Google Cloud 등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호스팅하여 웹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추가 개선 방안

  • 딥러닝 모델 적용: BERT와 같은 한국어 맞춤형 NLP 모델을 적용하여 더욱 정교한 문법 및 맞춤법 검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커스터마이징 기능: 자주 발생하는 오류에 대한 맞춤형 교정 기능 추가.
  • 단어 추천 기능: 문맥에 맞는 단어 추천 기능을 추가하여 글의 품질을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기본적인 한국어 맞춤법 및 문법 검사기를 만들고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2024년 11월 7일 목요일

글자수 세기

글자수 세기

아래는 글자수 세기 프로그램을 HTML, CSS, JavaScript를 사용하여 단계별로 구현하는 코드입니다. 이 코드와 함께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니, 이 과정을 따라 블로그에 게시하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


1단계: HTML/CSS로 간단한 UI 구현하기

HTML 코드:

  • 글자를 입력할 수 있는 textarea와 글자 수를 표시할 div 영역을 생성합니다.
  • 기본적인 스타일링을 통해 디자인을 완성합니다.
html코드 복사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한글 글자수 세기 프로그램</title>
    <style>
        /* 텍스트 입력과 글자 수 영역의 스타일 */
        body {
            font-family: Arial, sans-serif;
            display: flex;
            flex-direction: column;
            align-items: center;
            padding: 20px;
        }
        #charCountContainer {
            margin-top: 10px;
            padding: 10px;
            font-size: 18px;
            color: #333;
            background-color: #f9f9f9;
            border: 1px solid #ccc;
            border-radius: 5px;
            width: 100%;
            max-width: 500px;
            text-align: center;
        }
        #content {
            width: 100%;
            max-width: 500px;
            height: 150px;
            padding: 10px;
            font-size: 16px;
            border: 1px solid #ccc;
            border-radius: 5px;
        }
    </style>
</head>
<body>

    <h2>한글 글자수 세기 프로그램</h2>
    <textarea id="content" placeholder="여기에 텍스트를 입력하세요..."></textarea>
    <div id="charCountContainer">글자 수: <span id="charCount">0</span></div>

</body>
</html>

이 단계에서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textarea와 글자 수가 표시되는 div를 준비했습니다. 기본적인 스타일을 통해 깔끔하게 정리하였습니다.


2단계: JavaScript로 글자수 세기 기능 구현하기

JavaScript 코드:

  • textarea의 내용이 변경될 때마다 글자 수를 계산하고, div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합니다.
html코드 복사
<script>
    // 텍스트 입력 영역의 내용을 감지하고 글자수를 계산하여 표시
    document.getElementById('content').addEventListener('input', function() {
        var content = document.getElementById('content').value;
        var charCount = content.replace(/\s/g, "").length; // 공백을 제외한 글자 수 계산
        document.getElementById('charCount').innerText = charCount;
    });
</script>

  • 글자수 계산 로직: 공백을 제외하고 순수한 글자 수만 세도록 정규식을 적용했습니다.
  • textarea에서 글자가 입력될 때마다 자동으로 글자 수가 업데이트되어 표시됩니다.

3단계: 구현한 프로그램을 블로그에 게시하기

  1. 코드 통합: 위의 HTML, CSS, JavaScript 코드를 모두 결합하여 하나의 HTML 파일로 만들거나, 블로그 HTML 편집기에 붙여넣어 실행합니다.
html코드 복사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한글 글자수 세기 프로그램</title>
    <style>
        body {
            font-family: Arial, sans-serif;
            display: flex;
            flex-direction: column;
            align-items: center;
            padding: 20px;
        }
        #charCountContainer {
            margin-top: 10px;
            padding: 10px;
            font-size: 18px;
            color: #333;
            background-color: #f9f9f9;
            border: 1px solid #ccc;
            border-radius: 5px;
            width: 100%;
            max-width: 500px;
            text-align: center;
        }
        #content {
            width: 100%;
            max-width: 500px;
            height: 150px;
            padding: 10px;
            font-size: 16px;
            border: 1px solid #ccc;
            border-radius: 5px;
        }
    </style>
</head>
<body>

    <h2>한글 글자수 세기 프로그램</h2>
    <textarea id="content" placeholder="여기에 텍스트를 입력하세요..."></textarea>
    <div id="charCountContainer">글자 수: <span id="charCount">0</span></div>

    <script>
        document.getElementById('content').addEventListener('input', function() {
            var content = document.getElementById('content').value;
            var charCount = content.replace(/\s/g, "").length;
            document.getElementById('charCount').innerText = charCount;
        });
    </script>

</body>
</html>
  1. 블로그에 설명 작성:
    • 블로그 글로 프로그램의 목적(예: 애드센스를 위해 적절한 글자 수 확인)과 사용 방법(텍스트 입력 시 실시간 글자 수 확인)을 설명합니다.
    • 각 단계의 코드와 설명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직접 구현해 볼 수 있도록 작성합니다.

이렇게 하면 블로그스팟에 '한글 글자수 세기 프로그램'을 완성하여 손쉽게 글자 수를 확인하고, 고품질 콘텐츠 작성에 도움이 되도록 활용할 수 있습니다.  위드메이크!!  였습니다.



한글 글자수 세기 프로그램

한글 글자수 세기 프로그램

글자 수: 0

2024년 11월 3일 일요일

앤트로픽 클로드, 이제 데스크톱에서 만나요

앤트로픽 클로드, 이제 데스크톱에서 만나요! 🖥️

안녕하세요, AI 트렌드를 소개하는 테크블로거입니다! 오늘은 앤트로픽의 AI 챗봇 '클로드'의 새로운 소식을 전해드리려고 해요.

드디어 출시된 클로드 데스크톱 앱

앤트로픽이 드디어 맥과 윈도우용 클로드 데스크톱 앱을 출시했습니다! 이제 더 이상 웹사이트에 접속하지 않아도 클로드와 대화할 수 있게 되었어요. 기존 웹 버전 사용자들이라면 더욱 편리해진 접근성을 경험하실 수 있을 거예요.


주요 기능

  • 웹사이트 접속 없이 바로 채팅 시작
  • 이전 대화 내역 불러오기
  • 중요 대화 저장 및 관리
  • 무료 다운로드 지원

모바일에서는 음성으로 대화해요

데스크톱 앱 출시와 함께 모바일 버전에도 새로운 기능이 추가된다고 하네요! iOS와 안드로이드 사용자들을 위한 음성 인식 기능이 추가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텍스트 입력이 번거로우셨던 분들은 곧 음성으로 직접 질문하실 수 있어요.

모바일 받아쓰기 기능 추가

  • 최대 10분 길이의 음성 메시지 지원
  • iOS, iPadOS, 안드로이드 모두 지원
  • 음성 메시지 필사 및 응답 기능

아쉬운 점도 있어요

물론 아쉬운 점도 있습니다. 최근 화제가 되었던 'Computer Use' 기능은 아직 데스크톱 앱에서 지원되지 않는다고 하네요. 또한 OpenAI의 ChatGPT나 Microsoft Copilot 등 경쟁사들에 비해 데스크톱 앱 출시가 다소 늦은 감이 있습니다.

마치며

앤트로픽의 이번 데스크톱 앱 출시는 클로드를 더욱 접근성 있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특히 모바일에서의 음성 인식 기능 추가는 사용자 경험을 한층 개선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여러분도 클로드 데스크톱 앱을 한번 사용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앞으로도 클로드의 발전이 기대되네요. 더 많은 AI 소식으로 찾아뵙겠습니다! 😊

2024년 10월 31일 목요일

윈도우 에서 Hugo로 개인블로그를 만들고 github으로 호스팅하는 법2

오늘의 목표

윈도우 에서 Hugo로 개인블로그를 만들고 github으로 호스팅하는 법을 위한 사용 툴 버전


설치 날짜 : 10-31-2024

hugo version : hugo v0.82.0

git version : git version 2.31.1.windows.1

windows : 10

windows terminal: v1.7.572.0

Chocolatey : v0.10.15


필요한 툴 설치

windows terminal 설치

github에 가입


hugo 설치=Chocolatey를 설치


위 링크를 보시면 여러 방법이 있지만, 윈도우를 쓰는 우리는 Chocolatey를 사용할 것입니다. macOS는 맥을 사용합니다.


AI 경쟁 시대의 도래와 한국의 대응 전략

AI 경쟁 시대의 도래와 한국의 대응 전략

최근 엘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2040년이 되면 휴머노이드 AI 로봇이 전 세계적으로 100억 개를 넘어설 것이며, 인구보다 더 많은 AI가 인간 사회에 깊숙이 자리잡을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저출산과 인구 감소에 대한 대안으로 AI의 역할이 더욱 커질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머스크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제8회 미래투자이니셔티브(FII)에서 “세계 인구 붕괴가 가장 큰 위협”이라며, AI가 인류에게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저출산 문제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AI 개발 속도가 빨라진다면 노동력과 생산력 측면에서 인간의 빈자리를 AI가 채우는 미래가 도래할 수 있습니다.

AI 패권을 둘러싼 국가 간 경쟁

현재 AI 경쟁력에서 한국은 전 세계 83개국 중 6위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나 다른 AI 선도국들에 비해 뒤처진 순위이며, AI 기술 개발과 인재 양성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미국과 중국과 같은 강국들이 AI 연구와 인재 영입에 막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 반면, 한국의 AI 인재 수급 상황은 인구 1만 명당 0.3명에 불과한 상태입니다. 이는 향후 AI 기술 개발과 국가 경쟁력 강화에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스탠퍼드대 AI 인덱스에 따르면, 미국은 AI를 전략 자산으로 인식하며 정부 차원의 지원과 통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AI 기술이 경제 성장뿐 아니라 국가 안보와도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한국은 AI 기반 법률조차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상태로, 글로벌 AI 경쟁에서 도태될 위험이 큽니다.

한국의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접근

현재 윤석열 정부는 2027년까지 AI 경쟁력을 크게 강화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으며, 이를 위해 AI 3대 강국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AI 인재 양성 및 관련 법·제도 정비 없이는 이러한 목표 달성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미국, 중국과 같은 국가들이 AI 패권을 장악하려는 상황에서 한국은 AI 인재 육성, 법·제도 정비, 글로벌 협력 등을 통해 국가 역량을 총동원해야 할 때입니다.

한국이 AI 시대에 발맞추어 국가 경쟁력을 유지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AI 교육 확대와 연구 개발 인프라 강화가 필요합니다. AI 패권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국가적 지원과 법적 기반을 갖춘 종합적인 전략이 절실합니다.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2024년 10월 28일 월요일

Hugo로 개인블로그 만들어 보기(1)

Hugo로 개인블로그를 만들기

오늘은 윈도우 에서 Hugo로 개인블로그를 만들고 github으로 호스팅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기본 개념을 알고 시작해야조.

개념설명

hugo란 무엇일까요?  휴고? 여기서 Hugo란 static site generator입니다. 정적사이트static site를 명령어 몇개로 자동 생성해주는 커맨드 기반 프로그램입니다.

다음은 사이트를 설명합니다. 정적,동적 사이트입니다. 

static site Vs. dynamic site

dynamic site는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쇼핑몰 싸이트를 생각하면 됩니다. 클릭 혹은 마우스 움직임에 따라 바로바로 반응하도록 만든 사이트 입니다. 그에 반해서 static site는 기본적으로 페이지를 하나 열고 나면 반응하지 않습니다. 블로그나 글이 많은 사이트에 적합합니다.

front matter란 무엇일까요? 이건 왜 사용하지?

front matter란 휴고에서 글을 분류하기위해 표기하는 일종의 양식입니다. 테마마다 지원하는 방식이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title, date, draft이며, 글의 맨 앞쪽에 작성을 하게 됩니다.

예시)

---

title: "첫번째 글"

date: 2021-03-31

draft: true

---

커맨드 기반 프로그램

커맨드 기반 프로그램입니다. 윈도우에서 버튼 클릭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아닌, 특정한 키워드를 터미널에서 타이핑하여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뜻합니다.

터미널

터미날은 명령어를 넣어서 프로그램을 조작할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을 뜻합니다. 리눅스 혹은 os X의 경우에는 명령어 기반으로 되는 터미널이 어디에서나 존재하지만 윈도우는 그렇지 않습니다. 그래서 윈도우용 터미널은 여러가지 많이 존재합니다. git bash, command prompt, windows terminal, powershell..etc. 각각 다른 특징들이 있으나 여기서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저는 windows terminal를 사용하겠습니다.

git이란

깃이란 무엇일까요? 깃은 프로그래밍용, 버전 관리용 커맨드 기반 프로그램입니다.  어떤 파일을 수정할 시 그 수정한 시간이나 어떻게 수정했는지 등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을 생성합니다.

github이란
깃허브란 위에서 저장된 버전관리 파일을 관리해주는 클라우드 서비스 입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깃허브에 올리면 자동으로 버전관리를 해주며, 수정된 순서를 실시간으로 보여줍니다. 또한 무료 싸이트 호스팅과 github action등을 지원합니다.
 
호스팅?
다음은 호스팅입니다. 인터넷에 올라온 웹싸이트들은 바로 볼수 있는게 아니라 인터넷에 파일들을 올리고 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 행위를 호스팅이라고 합니다. 무료도 있고 유료도 있습니다. 여기서는 무료인 github을 사용합니다.
 
마크다운
.md로 끝나는 파일로 몇가지 조건이 설정된 텍스트 파일 입니다. 텍스트 파일에서 제목이나 번호를 붙이는것은 조금 번거러운 일 입니다. 워드나 한글에서는 위에서 버튼을 눌러서 크기를 조정해야 합니다. 읽기도 쓰기도 쉬운 문서 양식을 지향합니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보세요.
출처: https://selfinvestfriends.tistory.com/77?category=1093383 

markdown guide(링크):   https://www.markdownguide.org/getting-started/

ketax
수학 수식을 표현할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마크다운 파일은 기본적으로 빠르게 작성하는걸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수학 수식은 표현하는것이 불가능합니다.
 
Hugo 구조
  • archetypes : front matter 설정을 위한 default.md이 존재
  • content : 블로그에 올릴 글들이 저장되는 곳
  • data : 데이터 저장용. 싸이트에 보이지 않음
  • layouts : 여기에서 블로그에 실제로 적용되는 큰 틀을 가진 html들
  • static : css, js, img파일 등 추가 적인 기능 혹은 사진을 연결하기 위한 폴더
  • public: 위의 정보들을 기반으로 html로 생성된 웹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