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15일 일요일
Error 404는 서버가 요청한 URL을 찾을 수 없을 때
Error 404는 서버가 요청한 URL을 찾을 수 없을 때
Error 404는 서버가 요청한 URL을 찾을 수 없을 때 발생합니다. 즉, 도메인 연결은 완료되었으나 Blogger 설정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 단계를 따라 문제를 해결해 보세요.
1단계: Blogger 맞춤 도메인 설정 확인
- Blogger 대시보드 > 설정 > 게시로 이동합니다.
-
맞춤 도메인이 정확히 입력되었는지 확인합니다.
www.withmake.co.kr
형식으로 입력해야 합니다.
-
HTTPS 리디렉션을 활성화합니다.
- 설정 > HTTPS > HTTPS 리디렉션을 켜세요.
2단계: 루트 도메인(Non-www) 리디렉션 설정
www 없이 접속 시 404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루트
도메인(예: withmake.co.kr
)을 www.withmake.co.kr
로
리디렉션해야 합니다.
Blogger에서 리디렉션 설정하기:
- Blogger 설정으로 이동합니다.
- 맞춤 도메인 설정 아래에 "www가 없는 도메인 리디렉션" 옵션이 있습니다.
- 해당 옵션을 활성화하고 저장합니다.
3단계: DNS 레코드 확인
도메인 업체에서 CNAME과 A 레코드가 정확히 설정되었는지 다시 확인하세요.
-
CNAME 레코드:
- 호스트:
www
- 타겟:
ghs.google.com
- 호스트:
-
A 레코드 (루트 도메인 리디렉션):
- 호스트:
@
-
IP 주소:
216.239.32.21
216.239.34.21
216.239.36.21
216.239.38.21
- 호스트:
DNS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최대 24시간 기다려 DNS 전파를 확인하세요.
4단계: Blogger 게시물 설정 확인
Blogger에 실제 콘텐츠가 있어야 하며 홈 URL이 설정된 도메인과 연결되어야 합니다.
- 블로그 게시물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
URL 형식이
www.withmake.co.kr
로 시작하는지 다시 테스트해 보세요.
5단계: HTTPS 적용 여부 확인
HTTPS 설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https://
로 접속 시
404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Blogger 설정 > HTTPS로 이동합니다.
- HTTPS 사용 및 HTTPS 리디렉션을 활성화합니다.
결론
- Blogger 맞춤 도메인이 정확히 입력되었는지 확인하세요.
- CNAME과 A 레코드를 다시 확인하고 DNS가 전파될 시간을 기다리세요.
- www 없는 루트 도메인 리디렉션을 설정하세요.
- Blogger의 HTTPS 설정을 활성화하세요.
이 단계들을 진행하면 Error 404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에드센스 자동 광고 설정과 광고 배치 전략
2024년 12월 1일 일요일
Git 설치하기-시작
Git 설치하기
1. Git 다운로드
Git은 여기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Download for Windows를 눌러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윈도우는 32-bit, 64-bit Installer 선택 화면이 나오는데 Click here to download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2. Git 설치파일 실행
Git 설치파일을 실행하시면 설치 전 설정 메뉴들이 나타납니다. 설정이 아주 많은 편이지만(License Agreement부터 설치 완료 화면까지 무려 16개!) 복잡한 프로그램이라서라기보다는 그만큼 개발자가 원하는 설정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배려라고 생각하시고 설치를 시작해봅시다.
3. Git 설치 설정
깃설치과정중에서 우리는 '아무런 설정도 변경하지 않습니다.' Git Installer에 설정된 기본값은 가장 보편적인 설정입니다. Git에 대한 이해가 높지 않은 상황에서 설정을 바꾸는 것은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Git을 처음 쓰신다면 기본 설정으로 설치해 사용하시고, 이후 필요하실 때 설정값을 자신이 원하는 값으로 바꾸시길 추천드립니다.
💓설치중 (NEW!)는 새롭게 제안하는 설정으로 Git에 익숙하지 않으시다면 체크하지 않으셔도 무방합니다. 반대로 (Recommended)는 체크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3-1. Git 설치 설정 - 구성요소
여기서는 Git 설치시 함께 설치할 구성요소의 범위를 결정합니다.
- Additional icons
- ⬜On the desktop :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하지 않습니다.
- Windows Explorer integration
- ✅Git Bash Here : 폴더 우클릭시 Git Bash Here 메뉴를 추가합니다.
- ✅Git GUI Here : 폴더 우클릭시 Git GUI Here 메뉴를 추가합니다.
- ✅Git LFS (Large File Support) : 대용량 파일을 지원합니다.
- ✅Associate .git* configuration files with the default text editor : 기본 텍스트 에디터(메모장, vim, nano 등)에서
*.git
파일을 열 수 있도록 연결합니다. - ✅Associate .sh files to be run with Bash : Git Bash에서 쉘 스크립트 파일(
*.sh
)이 동작하도록 연결합니다. - ⬜Check daily for Git for Windows updates : Git 업데이트 사항을 매일 확인하지 않습니다.
- ⬜(NEW!) Add a Git Bash Profile to Windows Terminal : 윈도우 터미널에 Git Bash 프로파일을 추가하지 않습니다.
Git Bash : CLI(Command Line Interface) 기반의 쉘 프로그램으로 Unix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Git GUI : 알기 쉬운 그래픽 기반의 인터페이스로 마우스를 이용해 Git을 조작할 수 있습니다.
3-2. Git 설치 설정 - 기본 에디터 설정
여기서는 어떤 에디터를 Git 기본 에디터로 설정할지 결정합니다.
Vim, VS Code, Atom 등 여러 에디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중인 에디터가 있다면 그 에디터를 기본 에디터로 설정하셔도 되고, 없다면 Vim(powerful,3-3. Git 설치 설정 - 기본 브랜치명 설정
여기서는 새 저장소를 생성할 때 branch 이름을 지정하는 방법을 결정합니다.
- ✅Let Git decide : 브랜치명을 master로 지정합니다.
- ⬜Override the defult branch name for new repositories : 빈 칸에 입력하는 이름으로 브랜치명을 지정합니다. 설정할 경우 보통 main을 씁니다.
4. Git Bash 실행
설정이 끝나고 Git이 설치되면 아래와 같이 설치 완료 화면이 나옵니다. ✅Launch Git Bash를 선택해 Git Bash를 실행합니다.
ls
를 Git Bash와 명령 프롬프트에 각각 입력해보겠습니다.Git Bash 실행결과(위), 명령 프롬프트 실행결과(아래) |
Git Bash에서는 ls
가 실행되어 디렉토리 리스트를 보여주지만 명령 프롬프트에서는 ls
명령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 Git 사용자 이름, 이메일 등록
Git은 협업을 전제로 한 버전 관리 도구입니다. 변경 사항을 누가 반영했는지 기록하기 위해 Git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전 사용자 이름과 이메일을 등록하겠습니다.
$ git config --global user.name "USERNAME"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USEREMAIL@domain.com"
USERNAME
은 사용하고 싶은 이름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GitHub와 연동하여 사용할 예정이라면, USEREMAIL@domain.com
에 GitHub에 회원가입한 이메일을 입력하시면 로컬 PC에서 GitHub로 Push할 때 해당 이메일을 사용하는 GitHub 사용자 계정과 연결됩니다.2024년 11월 28일 목요일
블로그스팟에서 표 작성하는 방법: 간단하고 효율적인 팁
블로그스팟에서 표 작성하는 방법: 간단하고 효율적인 팁
블로그스팟(Blogger)을 사용하다 보면 표를 작성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분들이 많습니다. 티스토리나 워드프레스는 기본적으로 표 작성 기능이 있거나 플러그인을 통해 쉽게 추가할 수 있지만, 블로그스팟의 기본 에디터에는 표 삽입 도구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블로그스팟에서 효율적으로 표를 작성하고 SEO에 적합한 코드를 활용할 수 있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 그 방법을 소개합니다.
키워드: 블로그스팟 표 작성, HTML 표, 간단한 표 삽입, 구글 문서 활용, SEO 최적화, 인공지능 테이블 생성
1. 블로그스팟에서 표 작성의 기본 문제
블로그스팟에서는 기본적으로 표를 작성할 수 있는 에디터 도구가 없기 때문에 HTML 코드를 직접 작성해야 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분들이 **구글 문서(Google Docs)**에서 표를 복사해 붙여넣는 방식을 사용하지만, 이 방법은 HTML 코드에 불필요한 속성들이 추가되어 SEO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 구글 문서를 활용한 표 삽입
① 표 작성 및 복사
- 구글 문서에 로그인하여 새 문서를 엽니다.
- 상단 메뉴에서 삽입 → 표를 선택하고 원하는 크기의 표를 만듭니다.
- 표를 완성한 후 내용을 채우고, 표를 복사합니다(Ctrl+C).
② 블로그스팟에 붙여넣기
- 블로그스팟의 글쓰기 화면에서 표를 붙여넣습니다(Ctrl+V).
-
표는 정상적으로 삽입되지만, HTML 모드에서 확인하면 불필요한 코드가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예: 스타일 속성, 클래스 속성 등.
3. 테이블 제너레이터 활용으로 효율적인 표 작성
① 테이블 제너레이터 사용
- Table Generator(예: Table Generator Online)에 접속합니다.
- 표 크기(가로, 세로 칸)를 설정한 뒤 데이터를 입력합니다.
- CSS 제외 옵션을 활성화하여 불필요한 스타일 속성을 제거합니다.
- 표 데이터를 압축하여 한 줄로 정리합니다.
② 생성된 HTML 코드 삽입
- 테이블 제너레이터에서 생성된 HTML 코드를 복사합니다.
- 블로그스팟 HTML 편집 모드에서 원하는 위치에 붙여넣습니다.
- 미리보기를 통해 표가 제대로 표시되는지 확인합니다.
4. 인공지능(AI)으로 표 생성하기
① 인공지능 활용
- ChatGPT나 퍼플렉시티(Publycity) 같은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해 데이터를 입력하면, 세련된 HTML 표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
사용 방법:
- 데이터를 복사해 "HTML 표로 만들어 주세요"라고 요청합니다.
- 생성된 HTML 코드를 복사하여 블로그스팟에 붙여넣습니다.
② 예제 코드
html<table>
<tr>
<th>좌석 등급</th>
<th>가격</th>
</tr>
<tr>
<td>VIP석</td>
<td>100,000원</td>
</tr>
<tr>
<td>일반석</td>
<td>50,000원</td>
</tr>
</table>
예제::
기능 블로그스팟 표 작성 구글 문서 표 작성 사용 용이성 HTML 코드 필요, 초보자에게 다소 어려움 드래그 앤 드롭 방식,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디자인 옵션 제한적 (CSS로 커스터마이징 가능) 다양한 테이블 스타일과 셀 꾸미기 기능 제공 포맷팅 자유도 CSS 활용 시 자유도 높음 내장된 기능으로만 제한적 협업 기능 불가능 (개별 작업만 가능) 실시간 협업 및 공유 가능 삽입 및 배치 HTML 코드로 원하는 위치에 삽입 구글 문서에서 작성 후 이미지로 삽입 필요 출력 방식 블로그스팟 내에서 직접 표시 표 캡처 후 이미지로 삽입 가능
5. 표 작성 시 주의사항
-
SEO 최적화:
- 불필요한 CSS나 클래스 속성을 최소화하여 간결한 코드를 사용하세요.
- 테이블의 내용이 간결하고 명확해야 검색 엔진이 쉽게 인식할 수 있습니다.
-
가독성:
- 표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하고, 너무 많은 데이터를 한 표에 넣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페이지 속도:
- 복잡한 코드는 페이지 로딩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압축된 HTML 코드를 사용하세요.
결론
블로그스팟에서 표를 작성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테이블 제너레이터나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하여 간결한 HTML 코드를 생성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표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SEO에도 유리한 코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운영에 시간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싶다면, 위의 방법을 적용해 보세요.
블로그스팟 SEO(검색 엔진 최적화),UX(사용자 경험)개선전략
블로그스팟 SEO(검색 엔진 최적화),UX(사용자 경험)개선전략
블로그스팟에서 자바스크립트를 활용해 **SEO(검색 엔진 최적화)**와 **UX(사용자 경험)**를 동시에 개선하려면, 기술적 SEO와 상호작용 요소를 강화하며 사이트 성능을 최적화하는 접근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이를 달성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들입니다:
1. SEO 최적화와 사용자 경험을 강화하는 자바스크립트 구현
① 동적 메타 태그 업데이트
- 블로그스팟은 기본적으로 메타 태그를 자동 생성하지만, 포스트별로 맞춤화된 메타 태그를 동적으로 삽입하면 검색 엔진에서의 노출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html<script>
document.querySelector('meta[name="description"]').setAttribute("content", "여기에 포스트 요약을 입력하세요.");
document.querySelector('title').innerText = "포스트 제목 | 블로그 이름";
</script>
- 효과: 동적 메타 태그는 페이지별로 검색 엔진 최적화에 중요한 내용을 제공해 노출도를 높이고, 검색 클릭률(CTR)을 증가시킵니다.
② Schema.org 구조화 데이터 추가
- Schema Markup을 통해 검색 엔진에 콘텐츠를 명확히 전달하고 리치 스니펫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html<script type="application/ld+json">
{
"@context": "https://schema.org",
"@type": "BlogPosting",
"headline": "포스트 제목",
"description": "포스트 요약",
"author": {
"@type": "Person",
"name": "작성자 이름"
},
"datePublished": "2024-11-28",
"dateModified": "2024-11-28"
}
</script>
- 효과: 리치 스니펫은 검색 결과에서 눈에 띄는 요소로, 클릭률(CTR)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에게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2. 콘텐츠 로딩 최적화
① Lazy Loading을 통한 UX 개선
- 이미지, 비디오 등 리소스를 Lazy Loading하여 페이지 로딩 속도를 개선하고, 검색 엔진이 페이지를 더 빠르게 크롤링하도록 지원합니다.
html<script src="https://cdnjs.cloudflare.com/ajax/libs/lazysizes/5.3.2/lazysizes.min.js" async></script>
<img data-src="image.jpg" class="lazyload" alt="이미지 설명">
- 효과: Lazy Loading은 모바일 및 데스크톱 모두에서 페이지 로딩 속도를 크게 줄여 Core Web Vitals 점수를 개선하며 SEO와 UX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② 콘텐츠 우선 로딩
- 페이지 상단에 필요한 콘텐츠를 먼저 로드하고, 나머지 스크립트는 지연 로딩(Defer)합니다.
html<script defer src="script.js"></script>
- 효과: 중요 콘텐츠가 먼저 로드되어 사용자 만족도가 높아지고, 검색 엔진 크롤러가 핵심 콘텐츠를 더 빠르게 인식할 수 있습니다.
3. 상호작용 요소 추가로 UX 향상
① 콘텐츠 추천 위젯
- 관련 포스트를 추천하는 위젯을 추가하여 사용자 체류 시간을 늘리고, 사이트 내 탐색을 유도합니다.
html<div id="related-posts"></div>
<script>
// 예제: 태그 기반 관련 포스트 표시
const tag = "technology";
fetch(`https://www.googleapis.com/blogger/v3/blogs/YOUR_BLOG_ID/posts?labels=${tag}`)
.then(response => response.json())
.then(data => {
const posts = data.items.map(post => `<a href="${post.url}">${post.title}</a>`).join("<br>");
document.getElementById("related-posts").innerHTML = posts;
});
</script>
- 효과: 관련 포스트를 표시하면 페이지 이탈률을 줄이고, 사용자 체류 시간을 늘려 SEO 점수를 향상시킵니다.
② 검색창에 자동완성 기능 추가
- 검색창에 자동완성을 추가하면 사용자가 더 쉽게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습니다.
html<input type="text" id="search-box" placeholder="Search...">
<ul id="autocomplete-results"></ul>
<script>
const searchBox = document.getElementById("search-box");
const results = document.getElementById("autocomplete-results");
searchBox.addEventListener("input", function() {
const query = this.value;
fetch(`/search?q=${query}`)
.then(response => response.json())
.then(data => {
results.innerHTML = data.items.map(item => `<li>${item.title}</li>`).join("");
});
});
</script>
- 효과: 사용자는 더 빠르게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고, 이는 탐색 경험을 향상시켜 사이트의 유용성을 높입니다.
4. 모바일 SEO와 UX를 위한 자바스크립트 활용
① 반응형 모바일 메뉴
- 워드프레스처럼 반응형 메뉴를 자바스크립트로 구현하여 모바일 사용자 경험을 개선합니다.
html<div class="hamburger-menu">
<span>☰</span>
<nav class="mobile-nav" style="display: none;">
<a href="/">Home</a>
<a href="/about.html">About</a>
<a href="/contact.html">Contact</a>
</nav>
</div>
<script>
document.querySelector(".hamburger-menu span").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
const nav = document.querySelector(".mobile-nav");
nav.style.display = nav.style.display === "block" ? "none" : "block";
});
</script>
- 효과: 간소화된 모바일 메뉴는 사용자가 더 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돕고, 사이트의 유용성을 향상시킵니다.
5. SEO와 UX 개선을 위한 애널리틱스 데이터 활용
Google Analytics 이벤트 추적
- 사용자가 사이트를 어떻게 탐색하는지 파악하고,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터페이스와 콘텐츠를 최적화합니다.
html<script>
function trackClick(event) {
gtag('event', 'click', {
'event_category': 'button',
'event_label': event.target.id
});
}
document.querySelectorAll('button').forEach(button => {
button.addEventListener('click', trackClick);
});
</script>
- 효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UX를 개선하고, 사용자 경험을 강화할 수 있는 통찰을 제공합니다.
6. 소셜 미디어 공유 버튼
SEO 및 UX 동시 강화
- 콘텐츠를 쉽게 공유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 버튼을 추가하면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고 트래픽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html<div class="social-share">
<a href="https://facebook.com/sharer.php?u=YOUR_URL" target="_blank">Facebook</a>
<a href="https://twitter.com/intent/tweet?url=YOUR_URL" target="_blank">Twitter</a>
</div>
<script>
document.querySelectorAll(".social-share a").forEach(link => {
link.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
gtag('event', 'social_share', {
'event_category': 'social',
'event_label': link.href
});
});
});
</script>
- 효과: 콘텐츠 공유는 외부 링크를 생성해 SEO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사용자와의 상호작용도 강화됩니다.
요약: 핵심 전략
- SEO 최적화:
- Schema.org 구조화 데이터, 동적 메타 태그, Lazy Loading.
- UX 강화:
- 관련 포스트 추천, 모바일 메뉴, 검색창 자동완성.
- 페이지 성능 최적화:
- 콘텐츠 지연 로딩 및 중요 콘텐츠 우선 로딩.
이 방법들은 SEO 점수를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며, 블로그의 트래픽과 참여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블로그스팟(Blogger)반응형 템플릿 선택 및 커스터마이징
블로그스팟(Blogger)반응형 템플릿 선택 및 커스터마이징
블로그스팟(Blogger)에서도 워드프레스처럼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mesektok.com과 유사한 디자인을 블로그스팟에서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단계입니다:
1. 반응형 템플릿 선택 및 커스터마이징
블로그스팟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템플릿을 사용하거나 커스텀 템플릿을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① 반응형 템플릿 선택
- 블로그스팟 대시보드 → 테마 → 맞춤 설정 → 제공되는 템플릿 중 반응형(Responsive) 템플릿을 선택합니다.
- 기본 제공 템플릿이 부족하다면, 외부에서 무료 또는 유료 반응형 템플릿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추천 사이트: Gooyaabi Templates, Sora Templates
② 템플릿 업로드 방법
- 다운로드한 템플릿 파일(.xml)을 준비합니다.
- 블로그스팟 대시보드 → 테마 → 백업/복원 → 템플릿 업로드.
2. HTML 및 CSS 커스터마이징
블로그스팟의 HTML 편집기를 사용해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직접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
① 상단 고정 광고 (Sticky Ad)
- 블로그스팟 대시보드 → 테마 → HTML 편집으로 이동.
<head>
태그 안에 다음 코드를 추가합니다:
html<style>
.sticky-ad {
position: fixed;
top: 0;
width: 100%;
z-index: 999;
background-color: #fff;
}
</style>
- 광고 코드를 다음 위치에 삽입:
html<div class="sticky-ad">
<!-- 구글 애드센스 광고 코드 삽입 -->
</div>
② 본문 내 광고 삽입
게시글 첫 번째 문단 또는 중간에 광고를 넣으려면 다음 코드를 추가합니다:
html<script>
if (window.innerWidth < 768) { // 모바일 화면 조건
document.write('<div class="adsense-mobile">구글 애드센스 광고 코드</div>');
}
</script>
③ 사이드바 광고
사이드바에 광고를 넣으려면:
- 대시보드 → 레이아웃 → 위젯 추가 → HTML/JavaScript를 선택하고 광고 코드를 삽입합니다.
3. 레이아웃 최적화
① 레이아웃 조정
- 블로그스팟 대시보드 → 레이아웃에서 위젯의 위치를 조정합니다.
- 광고를 헤더, 본문 위, 본문 중간, 사이드바 등 원하는 위치에 배치.
- 특정 모바일 디바이스 전용 광고를 설정하려면 CSS 미디어 쿼리를 활용합니다:
css@media only screen and (max-width: 768px) {
.desktop-ad { display: none; }
.mobile-ad { display: block; }
}
② 광고 배치 추천
- 상단 고정 광고: 헤더 바로 아래에 배치.
- 본문 첫 문단 광고: 포스트 중간에 삽입.
- 사이드바 광고: 최신 포스트 목록 위에 배치.
4. 구글 애드센스 최적화
① 애드센스 코드 삽입
블로그스팟에서 애드센스 광고를 설정하려면:
- 애드센스 대시보드 → 광고 코드 생성.
- 블로그스팟 대시보드 → 레이아웃 → 광고를 추가할 영역 선택 → HTML/JavaScript에서 광고 코드 삽입.
② 자동 광고 활성화
- 애드센스 → 사이트 → 블로그 URL 등록.
- 자동 광고 코드를 블로그스팟 대시보드 → 테마 → HTML 편집에서
<head>
섹션에 추가.
5. 모바일 전용 메뉴
① 간단한 모바일 메뉴 추가
HTML 편집기에서 다음 코드를 추가합니다:
html<nav class="mobile-menu">
<ul>
<li><a href="/">홈</a></li>
<li><a href="/p/about.html">소개</a></li>
<li><a href="/p/contact.html">문의</a></li>
</ul>
</nav>
<style>
.mobile-menu {
display: none;
background-color: #333;
color: #fff;
padding: 10px;
}
@media only screen and (max-width: 768px) {
.mobile-menu { display: block; }
}
</style>
6. 테스트 및 수정
- 모바일 최적화 확인: 사이트를 모바일에서 확인해 배치가 적절한지 확인합니다.
- 구글 애널리틱스: 광고 성능을 추적해 배치를 수정합니다.
- PageSpeed Insights: 모바일 속도를 점검하고 필요한 최적화 작업을 진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