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21일 월요일
현대차·기아의 '미래 공장' 비전
현대차·기아의 '미래 공장' 비전: 이포레스트 테크데이 2024 현장 리뷰
현대차와 기아가 의왕 연구소에서 개최한 이포레스트 테크데이(E-FOREST TECH DAY) 2024에서 미래 제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선보였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AI와 로봇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 혁신과 **소프트웨어 중심 공장(SDF)**으로의 전환 비전을 공개하며 주목을 받았습니다.
1. 이포레스트 테크데이: 스마트 제조의 혁신 플랫폼
이포레스트는 현대차·기아의 스마트 공장 브랜드로, AI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시스템을 도입해 제조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모든 제조 요소를 유기적으로 연결해, 모빌리티 산업의 고도화를 지향합니다.
SDF(Software Defined Factory) 구축을 통해, 디지털 전환과 신속한 고객 맞춤형 제품 제공이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2. 주요 전시 기술 소개
물류로봇(AMR) 주행 제어 내재화 기술
- 기존의 직진 이동만 가능했던 물류로봇이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는 무거운 물건을 실은 상태에서도 곡선 주행이 부드럽게 이루어집니다.
비정형 부품 조립 자동화 기술
- AI 비전 알고리즘을 활용해 형태가 일정치 않은 부품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피킹 포인트를 찾아내어 제어 명령을 수행합니다. 이는 휴머노이드 로봇과 결합해 자율적 공장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무한 다축 홀딩 픽스처 기술
- 다양한 부품을 조립할 때 하나의 픽스처로 여러 파트를 조립할 수 있는 기술로, 제조 공정의 유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합니다.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동체와 날개 자동 정렬 시스템
- 0.001㎛(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정밀 작업이 가능해, 3~5일 소요되는 공정을 몇 시간 내에 완료할 수 있습니다.
3. 혁신적인 공장의 미래와 성과
현대차와 기아의 제조 AI, 디지털 트윈, 로보틱스 솔루션은 사람의 작업을 대신해 정확성을 높이고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집니다. 또한, 9000명 이상의 현대차그룹 임직원과 협력사가 이번 행사에 참여해 새로운 기술 사례를 공유했습니다.
4. 이포레스트의 향후 목표
현대차·기아는 앞으로 지속 가능한 협업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이번 이포레스트 테크데이를 계기로 미래형 제조 공장을 선도할 신기술을 더욱 확장해 나갈 예정입니다. 이는 생산속도 향상, 품질 개선, 비용 절감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결론
이포레스트 테크데이 2024는 미래의 제조 환경과 기술 혁신을 위한 현대차·기아의 비전을 구체화한 자리였습니다. AI와 로봇 기술의 결합을 통해 제조업의 생산성과 유연성이 한 단계 진보하게 될 것이며, 고객 중심의 신속한 제품 공급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리액트 마스터하기1: 프론트엔드 개발의 핵심 개념
리액트 마스터하기: 프론트엔드 개발의 핵심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초보자 가이드"
소개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고 싶다면 리액트를 마스터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가장 인기 있는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로서, 리액트(라이브러리,도구)는 프론트엔드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최고의 도구가 되었습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리액트의 기본 개념을 쉽게 설명하여 코딩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도 쉽게 시작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해 봅시다!
리액트-자동업데이트? |
프론트엔드 개발에서 리액트가 중요한 이유
리액트는 종종 프론트엔드 개발의 "최종 목표"라고 불립니다. 2011년에 페이스북에 의해 만들어졌고, 전 세계 웹 개발자들에게 혁신적인 도구가 되었습니다. 리액트가 왜 일반 자바스크립트보다 중요한지 궁금하실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자동 업데이트 (새로고침 불필요): 전통적인 자바스크립트로는 업데이트를 보기 위해 브라우저를 수동으로 새로고침해야 했습니다. 리액트는 변경 사항이 있을 때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여 개발을 더 효율적으로 만들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합니다.
-
코드 재사용성: 리액트는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 접근 방식을 권장합니다. 동일한 코드를 반복해서 작성하는 대신, 웹사이트의 다양한 부분에서 재사용할 수 있는 모듈형 컴포넌트를 생성합니다. 현실에서 재활용하는 것처럼, 코드 재사용은 개발을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만들어 줍니다.
-
JSX를 사용한 HTML과 자바스크립트의 결합: 전통적인 웹 개발에서는 HTML과 자바스크립트를 따로 작성했습니다. 하지만 리액트는 JSX(JavaScript XML)라는 것을 도입하여 HTML 요소를 자바스크립트 안에 직접 작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JSX 구문,신텍스라고 부릅니다.). 이를 통해 각 컴포넌트의 모양과 동작을 한 곳에서 정의할 수 있어 코딩이 더 간단하고 직관적입니다.
여기서 잠깐, 구현 환경을 소개하고 진행삽시다.
리액트의 작동 방식: 간단한 개요
자바스크립트만으로 웹사이트를 구축한다고 상상해 보세요. 작은 변경을 할 때마다 처음부터 집을 짓는 것과 같습니다. 리액트는 이런 상황을 도와주는 여러 도구를 제공하며, 이는 마치 공구 상자에 전동 공구를 추가하는 것과 같습니다.
-
싱글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SPA): 리액트의 강점은 싱글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데 있습니다. 즉, 웹사이트에 여러 페이지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하나의 HTML 파일만 있고, 리액트가 이를 동적으로 업데이트하여 필요한 콘텐츠를 표시합니다.
-
HTML과 자바스크립트의 연결: 리액트의
index.html
파일에는 전체 웹페이지의 뼈대가 되는 단일 루트 요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 코드는 이 HTML 루트를 동적으로 채워주며, 이를 통해 콘텐츠 변경 시 페이지를 새로고침하지 않아도 즉시 변경 사항이 반영됩니다.오직한개의 one-page, index.html
첫 번째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 만들기
리액트에서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를 만드는 것은 개발을 더욱 효율적으로 만드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컴포넌트는 UI를 구성하는 작은 단위이며,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는 코드 블록입니다. 첫 번째 컴포넌트를 만드는 방법을 아래에서 알아보겠습니다.
-
컴포넌트 파일 생성하기:
src
폴더에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고 이름을Button.jsx
라고 지정합니다. -
컴포넌트 코드 작성하기:
-
컴포넌트는 함수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단순한 버튼 컴포넌트를 만들어보세요:
이 코드는 "클릭하세요!"라는 텍스트가 있는 버튼을 반환하는 간단한 컴포넌트를 정의합니다.
-
-
컴포넌트 사용하기: 이 버튼 컴포넌트를
App.jsx
파일에서 사용해 봅시다.이렇게 하면 버튼이 페이지에 나타나며, 필요에 따라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를 만든 것입니다.
시작하기 좋은 예시로는 버튼, 입력 폼, 내비게이션 바와 같은 기본적인 UI 요소가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웹페이지에서 자주 사용되므로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로 만들기 적합합니다.
-
CodeSandbox 방문하기: CodeSandbox(https://codesandbox.io)에 접속하세요. 별도의 설정 없이 바로 코딩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리액트 프로젝트 생성하기: "Create Sandbox" 버튼을 클릭하고 "React"를 환경으로 선택하세요. 그러면 자동으로 프로젝트가 설정됩니다.
-
파일 탐색하기: 새 리액트 프로젝트에서 몇 가지 중요한 파일들을 볼 수 있습니다:
- index.html: 기본 HTML 파일로,
id
가 "root"인 단일 요소만 포함되어 있으며, 전체 웹사이트를 담게 됩니다.
index.html |
- main.jsx: 이 파일은 자바스크립트 컴포넌트를
index.html
에 연결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올바르게 렌더링되도록 합니다.(index.html파일과 App.jsx를 연결해주는 연결 고리역할을 담당하는 아주 중요한 파일입니다.) - App.jsx: 여기에서 대부분의 콘텐츠를 추가하게 됩니다. 여기서 변경한 사항은 화면에 즉시 반영됩니다.
리액트가 개발을 쉽게 만드는 기능들
리액트에는 개발 과정을 간소화하는 여러 강력한 기능들이 있습니다:
-
라이브 업데이트:
App.jsx
에서 변경을 하면 리액트가 페이지를 새로고침하지 않고도 즉시 뷰를 업데이트합니다. 예를 들어 "Welcome to React!"라는 문구를 변경하면 바로 그 변화를 볼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코딩 흐름을 유지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
컴포넌트 기반 구조: 리액트는 UI를 별개의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로 나눌 수 있게 합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바, 푸터, 또는 버튼과 같은 요소들을 각각의 컴포넌트로 만들어 유지보수와 확장이 쉬워집니다.
결론
리액트는 모든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마스터해야 할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동적이고 효율적이며 확장 가능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어 개발 과정이 훨씬 생산적이 됩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JSX, 재사용성, 라이브 업데이트 등 리액트의 핵심 개념들을 소개했습니다. 이제 직접 경험해 볼 차례입니다!
CodeSandbox를 사용해 리액트 프로젝트를 설정하고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파일들을 탐색해 보세요. 연습을 많이 할수록 리액트를 사용해 인터랙티브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데 익숙해질 것입니다.
더 나아가고 싶나요?
이것은 시작일 뿐입니다. 다음으로는 리액트에서 자신만의 컴포넌트를 만드는 연습을 해 보세요. 버튼이나 폼처럼 웹페이지에 필요한 요소들을 생각해 보고, 이를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로 만들어 보세요. 리액트를 마스터하는 열쇠는 일관성과 창의성입니다. 계속 코딩하고 즐거운 학습 되세요!
React리액트3 - 리액트의 State스테이트
리액트의 State: 동적 UI 업데이트의 핵심
리액트(React)를 배우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state'입니다. state는 리액트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적으로 변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핵심 메커니즘입니다. 이 글에서는 state의 개념과 사용법, 그리고 왜 state가 필요한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tate란 무엇인가?
state는 리액트 컴포넌트 내에서 관리되는 객체로, 컴포넌트의 렌더링에 영향을 주는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일반 변수와 달리, state가 변경되면 리액트는 자동으로 해당 컴포넌트를 다시 렌더링합니다.
왜 State가 필요한가?
- 동적 UI 업데이트: 사용자 상호작용이나 데이터 변경에 따라 UI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지속성: 컴포넌트가 리렌더링되어도 state 값은 유지됩니다.
- 리액트의 선언적 프로그래밍: state를 사용하면 "어떻게" UI를 업데이트할지가 아니라 "무엇을" 보여줄지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State 사용하기
리액트에서 state를 사용하려면 useState
훅을 이용합니다.
}
이 예제에서:
useState(0)
는 초기값이 0인 state를 생성합니다.count
는 현재 state 값입니다.setCount
는 state를 업데이트하는 함수입니다.
State 업데이트의 특징
-
비동기적 업데이트: state 업데이트는 비동기적으로
처리됩니다. 즉,
setCount
호출 직후count
값이 즉시 변경되지 않습니다. - 배치 처리: 리액트는 여러 state 업데이트를 한 번에 처리하여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
이전 state 기반 업데이트: 이전 state 값을 기반으로
업데이트할 때는 함수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setCount(prevCount=> prevCount +1);
주의사항
-
직접 수정 금지: state를 직접 수정하지 마세요. 항상
setState
함수를 사용하세요. - 불변성 유지: 객체나 배열 state를 업데이트할 때는 새로운 참조를 생성해야 합니다.
결론
state는 리액트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적 데이터를 관리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적절히 사용하면 반응형이고 효율적인 UI를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state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리액트 개발의 핵심입니다.
2024년 10월 19일 토요일
테슬라 자율주행, 로보택시를 발효하다
테슬라의 로보 택시 발표가 완전 자율주행차 기술에 대한 관심을 다시 끌며, 이 기술의 현황과 가능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기사에서는 완전 자율주행차의 정의, 필요성, 주요 플레이어, 기술 개발의 어려움,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을 다루고 있습니다.
테슬라-로보택시 |
1. 완전 자율주행차의 정의
완전 자율주행차(Level 5)는 인간의 개입 없이 스스로 모든 주행을 책임지는 차량입니다. 자율주행은 레벨 0부터 5까지 구분되며, 레벨 4까지만 도달한 상태에서 주행이 가능한 특정 구간이 한정됩니다. 현재 완전 자율주행을 상용화한 기업은 없으며, 기술적으로 많은 도전과제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2. 자율주행차의 필요성
자율주행차는 특히 상업용 차량에서 운전자의 인건비 절감 효과가 큽니다. 로보택시와 같은 서비스의 도입은 장기적으로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2040년에는 1마일 당 운행 비용이 58센트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자율주행 분야의 주요 기업
웨이모(Google의 자회사)와 중국의 바이두가 대표적인 자율주행 선도 기업으로 꼽힙니다. 웨이모는 미국에서 상업적 로보택시를 운영 중이고, 바이두는 중국의 여러 도시에 걸쳐 대규모 상업 주행을 통해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습니다.
4. 기술 개발의 어려움
기술적인 난제뿐만 아니라 규제 문제도 자율주행차 개발을 어렵게 만듭니다. 애플과 GM의 예시에서 보듯이 사고와 규제의 벽에 부딪혀 일부 기업들은 프로젝트를 철수하거나 중단하기도 했습니다.
5. 자율주행의 미래 전망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는 자율주행차의 미래를 강조하며, 완전 자율주행차 시장에 도전할 가치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골드만삭스는 2040년에 이르면 레벨 3 이상의 자율주행차가 전체 신규 차량 판매의 40%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결론
자율주행차는 여전히 도전과 기회가 공존하는 분야입니다. 기술과 규제가 진전을 이루면 자율주행차는 미래 교통의 판도를 바꿀 중요한 혁신이 될 것입니다.
SpaceX의 획기적인 성과: 초대형 로켓 '스타십'의 성공적인 회수
이건 말도 안되는 일,SpaceX의 획기적인 성과: 초대형 로켓 '스타십'의 성공적인 회수
우주 탐사의 새 역사가 쓰였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민간 우주기업 SpaceX가 초대형 우주선 '스타십'의 다섯 번째 시험 비행에서 놀라운 성과를 이뤄냈습니다.
불가능을 가능으로
지난 시험에서는 우주선 폭발 등 여러 차질을 빚었던 스타십이지만, 이번에는 달랐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1단 로켓인 '슈퍼헤비'의 성공적인 회수입니다.
- 높이 71m, 직경 9m의 거대한 로켓
- 33개의 랩터 엔진으로 구동
- 로봇 팔을 이용한 혁신적인 회수 방식
우주 탐사의 새 지평
스타십의 성공은 단순한 기술적 성과를 넘어 인류의 우주 진출에 큰 의미를 갖습니다.
- 재사용 가능한 초대형 로켓 기술 확보
- 우주 여행 비용 대폭 절감 가능성
- 달, 화성 등 심우주 탐사에 활용 기대
일론 머스크는 이번 성과에 대해 "인류가 여러 행성에서 살 수 있게 하기 위한 큰 발걸음"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앞으로의 전망
150톤의 적재 능력을 가진 스타십은 앞으로 다양한 우주 미션에 활용될 전망입니다. 이번 성공을 바탕으로 SpaceX는 더욱 야심찬 계획들을 추진할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는 지금 우주 시대의 새로운 장을 목격하고 있습니다. SpaceX의 이번 성과가 인류의 우주 진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앞으로가 더욱 기대됩니다.
슈퍼헤비 회수 성공 |
이 블로그 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더 자세히 알고 싶은 부분이 있다면 말씀해 주세요. 머스크는 해냈습니다. 아자아자...withMAke입니다.
2024년 10월 18일 금요일
플랫폼에 맞는 링크박스 테스트하기
플랫폼에 맞는 링크박스 - 로컬 환경에서 미리보기 테스트
로컬 환경에서 HTML, CSS, JavaScript 코드를 실행한 뒤 티스토리나 블로그스팟에 적용하는 방법입니다.
codePEN활용하기 |
로컬 테스트를 위한 단계
1. 코드 파일 생성
index.html
,styles.css
,script.js
세 파일을 만듭니다.
2. HTML 코드 삽입 (index.html)
<!DOCTYPE html>
3. CSS 코드 삽입 (styles.css)<html lang="ko"><head><meta charset="UTF-8"><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title>링크 박스 미리보기</title><link rel="stylesheet" href="styles.css"></head><body><div class="link-box-content"><h3 class="link-title"><a class="link-box" href="https://example.com" target="_blank">링크 제목</a></h3></div><div class="controls"><label for="boxSize">박스 크기:</label><select id="boxSize" onchange="updateBoxStyle()"><option value="small">작게</option><option value="medium" selected>중간</option><option value="large">크게</option></select><label for="boxColor">박스 색상:</label><select id="boxColor" onchange="updateBoxStyle()"><option value="#FF5733">빨강</option><option value="#33C4FF">파랑</option><option value="#33FF57">초록</option><option value="#FFC300">노랑</option><option value="#8E44AD">보라</option></select></div><script src="script.js"></script></body></html>
.link-title a {font-family: 'Arial', sans-serif; /* 경기도체는 티스토리에서는 직접 호스팅 필요 */text-decoration: none;display: inline-block;padding: 10px;transition: background-color 0.3s, width 0.3s, font-size 0.3s;text-align: center;}.link-box-content {margin: 20px;display: inline-block;}.controls {margin-top: 20px;font-size: 16px;}
- function updateBoxStyle() {const size = document.getElementById('boxSize').value;const color = document.getElementById('boxColor').value;const link = document.querySelector('.link-title a');switch (size) {case 'small':link.style.width = '100px';link.style.fontSize = '28px';break;case 'medium':link.style.width = '200px';link.style.fontSize = '32px';break;case 'large':link.style.width = '300px';link.style.fontSize = '34px';break;}link.style.backgroundColor = color;}
- 로컬에서 index.html 파일을 더블 클릭해 브라우저에서 열어 확인합니다.
2. CodePen 또는 JSFiddle에서 미리보기
코드를 온라인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서비스로 CodePen과 JSFiddle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dePen 사용 방법
- CodePen에 접속합니다.
- HTML, CSS, JavaScript 각각의 탭에 해당 코드를 붙여 넣습니다.
- 미리보기 창에서 코드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확인합니다.
3. 티스토리와 블로그스팟에서 코드 적용 및 테스트
- 티스토리: 스킨 편집에서
HTML
,CSS
,JavaScript
를 올바르게 삽입합니다.- 일부 자바스크립트 코드는 글 본문에서 사용하기 위해
<script>
태그로 감싸야 합니다.
- 일부 자바스크립트 코드는 글 본문에서 사용하기 위해
- 블로그스팟: 테마 HTML 편집과 게시물 작성 시 HTML 모드에서 코드를 삽입합니다.
- 자바스크립트는
<script>
태그로 감싸 삽입합니다.
- 자바스크립트는
4. 주의 사항
- 외부 스크립트 차단: 티스토리와 블로그스팟은 보안상 외부 자바스크립트 실행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CORS 문제: 폰트나 이미지 같은 외부 리소스를 불러올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직접 호스팅하거나 경고를 무시할 수 있는 리소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로컬 또는 CodePen에서 코드를 먼저 테스트한 후, 티스토리와 블로그스팟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안전이 제일입니다. 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