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21일 월요일
리액트 마스터하기1: 프론트엔드 개발의 핵심 개념
리액트 마스터하기: 프론트엔드 개발의 핵심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초보자 가이드"
소개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고 싶다면 리액트를 마스터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가장 인기 있는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로서, 리액트(라이브러리,도구)는 프론트엔드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최고의 도구가 되었습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리액트의 기본 개념을 쉽게 설명하여 코딩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도 쉽게 시작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해 봅시다!
| 리액트-자동업데이트? |
프론트엔드 개발에서 리액트가 중요한 이유
리액트는 종종 프론트엔드 개발의 "최종 목표"라고 불립니다. 2011년에 페이스북에 의해 만들어졌고, 전 세계 웹 개발자들에게 혁신적인 도구가 되었습니다. 리액트가 왜 일반 자바스크립트보다 중요한지 궁금하실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자동 업데이트 (새로고침 불필요): 전통적인 자바스크립트로는 업데이트를 보기 위해 브라우저를 수동으로 새로고침해야 했습니다. 리액트는 변경 사항이 있을 때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여 개발을 더 효율적으로 만들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합니다.
-
코드 재사용성: 리액트는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 접근 방식을 권장합니다. 동일한 코드를 반복해서 작성하는 대신, 웹사이트의 다양한 부분에서 재사용할 수 있는 모듈형 컴포넌트를 생성합니다. 현실에서 재활용하는 것처럼, 코드 재사용은 개발을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만들어 줍니다.
-
JSX를 사용한 HTML과 자바스크립트의 결합: 전통적인 웹 개발에서는 HTML과 자바스크립트를 따로 작성했습니다. 하지만 리액트는 JSX(JavaScript XML)라는 것을 도입하여 HTML 요소를 자바스크립트 안에 직접 작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JSX 구문,신텍스라고 부릅니다.). 이를 통해 각 컴포넌트의 모양과 동작을 한 곳에서 정의할 수 있어 코딩이 더 간단하고 직관적입니다.
여기서 잠깐, 구현 환경을 소개하고 진행삽시다.
리액트의 작동 방식: 간단한 개요
자바스크립트만으로 웹사이트를 구축한다고 상상해 보세요. 작은 변경을 할 때마다 처음부터 집을 짓는 것과 같습니다. 리액트는 이런 상황을 도와주는 여러 도구를 제공하며, 이는 마치 공구 상자에 전동 공구를 추가하는 것과 같습니다.
-
싱글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SPA): 리액트의 강점은 싱글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데 있습니다. 즉, 웹사이트에 여러 페이지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하나의 HTML 파일만 있고, 리액트가 이를 동적으로 업데이트하여 필요한 콘텐츠를 표시합니다.
-
HTML과 자바스크립트의 연결: 리액트의
index.html파일에는 전체 웹페이지의 뼈대가 되는 단일 루트 요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 코드는 이 HTML 루트를 동적으로 채워주며, 이를 통해 콘텐츠 변경 시 페이지를 새로고침하지 않아도 즉시 변경 사항이 반영됩니다.오직한개의 one-page, index.html
첫 번째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 만들기
리액트에서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를 만드는 것은 개발을 더욱 효율적으로 만드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컴포넌트는 UI를 구성하는 작은 단위이며,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는 코드 블록입니다. 첫 번째 컴포넌트를 만드는 방법을 아래에서 알아보겠습니다.
-
컴포넌트 파일 생성하기:
src폴더에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고 이름을Button.jsx라고 지정합니다. -
컴포넌트 코드 작성하기:
-
컴포넌트는 함수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단순한 버튼 컴포넌트를 만들어보세요:
이 코드는 "클릭하세요!"라는 텍스트가 있는 버튼을 반환하는 간단한 컴포넌트를 정의합니다.
-
-
컴포넌트 사용하기: 이 버튼 컴포넌트를
App.jsx파일에서 사용해 봅시다.이렇게 하면 버튼이 페이지에 나타나며, 필요에 따라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를 만든 것입니다.
시작하기 좋은 예시로는 버튼, 입력 폼, 내비게이션 바와 같은 기본적인 UI 요소가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웹페이지에서 자주 사용되므로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로 만들기 적합합니다.
-
CodeSandbox 방문하기: CodeSandbox(https://codesandbox.io)에 접속하세요. 별도의 설정 없이 바로 코딩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리액트 프로젝트 생성하기: "Create Sandbox" 버튼을 클릭하고 "React"를 환경으로 선택하세요. 그러면 자동으로 프로젝트가 설정됩니다.
-
파일 탐색하기: 새 리액트 프로젝트에서 몇 가지 중요한 파일들을 볼 수 있습니다:
- index.html: 기본 HTML 파일로,
id가 "root"인 단일 요소만 포함되어 있으며, 전체 웹사이트를 담게 됩니다.
| index.html |
- main.jsx: 이 파일은 자바스크립트 컴포넌트를
index.html에 연결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올바르게 렌더링되도록 합니다.(index.html파일과 App.jsx를 연결해주는 연결 고리역할을 담당하는 아주 중요한 파일입니다.) - App.jsx: 여기에서 대부분의 콘텐츠를 추가하게 됩니다. 여기서 변경한 사항은 화면에 즉시 반영됩니다.
리액트가 개발을 쉽게 만드는 기능들
리액트에는 개발 과정을 간소화하는 여러 강력한 기능들이 있습니다:
-
라이브 업데이트:
App.jsx에서 변경을 하면 리액트가 페이지를 새로고침하지 않고도 즉시 뷰를 업데이트합니다. 예를 들어 "Welcome to React!"라는 문구를 변경하면 바로 그 변화를 볼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코딩 흐름을 유지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
컴포넌트 기반 구조: 리액트는 UI를 별개의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로 나눌 수 있게 합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바, 푸터, 또는 버튼과 같은 요소들을 각각의 컴포넌트로 만들어 유지보수와 확장이 쉬워집니다.
결론
리액트는 모든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마스터해야 할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동적이고 효율적이며 확장 가능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어 개발 과정이 훨씬 생산적이 됩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JSX, 재사용성, 라이브 업데이트 등 리액트의 핵심 개념들을 소개했습니다. 이제 직접 경험해 볼 차례입니다!
CodeSandbox를 사용해 리액트 프로젝트를 설정하고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파일들을 탐색해 보세요. 연습을 많이 할수록 리액트를 사용해 인터랙티브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데 익숙해질 것입니다.
더 나아가고 싶나요?
이것은 시작일 뿐입니다. 다음으로는 리액트에서 자신만의 컴포넌트를 만드는 연습을 해 보세요. 버튼이나 폼처럼 웹페이지에 필요한 요소들을 생각해 보고, 이를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로 만들어 보세요. 리액트를 마스터하는 열쇠는 일관성과 창의성입니다. 계속 코딩하고 즐거운 학습 되세요!
React리액트3 - 리액트의 State스테이트
리액트의 State: 동적 UI 업데이트의 핵심
리액트(React)를 배우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state'입니다. state는 리액트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적으로 변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핵심 메커니즘입니다. 이 글에서는 state의 개념과 사용법, 그리고 왜 state가 필요한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tate란 무엇인가?
state는 리액트 컴포넌트 내에서 관리되는 객체로, 컴포넌트의 렌더링에 영향을 주는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일반 변수와 달리, state가 변경되면 리액트는 자동으로 해당 컴포넌트를 다시 렌더링합니다.
왜 State가 필요한가?
- 동적 UI 업데이트: 사용자 상호작용이나 데이터 변경에 따라 UI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지속성: 컴포넌트가 리렌더링되어도 state 값은 유지됩니다.
- 리액트의 선언적 프로그래밍: state를 사용하면 "어떻게" UI를 업데이트할지가 아니라 "무엇을" 보여줄지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State 사용하기
리액트에서 state를 사용하려면 useState 훅을 이용합니다.
}이 예제에서:
useState(0)는 초기값이 0인 state를 생성합니다.count는 현재 state 값입니다.setCount는 state를 업데이트하는 함수입니다.
State 업데이트의 특징
-
비동기적 업데이트: state 업데이트는 비동기적으로
처리됩니다. 즉,
setCount호출 직후count값이 즉시 변경되지 않습니다. - 배치 처리: 리액트는 여러 state 업데이트를 한 번에 처리하여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
이전 state 기반 업데이트: 이전 state 값을 기반으로
업데이트할 때는 함수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setCount(prevCount=> prevCount +1);
주의사항
-
직접 수정 금지: state를 직접 수정하지 마세요. 항상
setState함수를 사용하세요. - 불변성 유지: 객체나 배열 state를 업데이트할 때는 새로운 참조를 생성해야 합니다.
결론
state는 리액트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적 데이터를 관리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적절히 사용하면 반응형이고 효율적인 UI를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state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리액트 개발의 핵심입니다.
2024년 10월 14일 월요일
리액트로 Todo 앱 만들기: 실전 프로젝트
리액트로 Todo 앱 만들기: 실전 프로젝트
안녕하세요! 리액트 학습 여정의 네 번째 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오늘은 실제 프로젝트를 통해 리액트의 핵심 개념들을 적용해보겠습니다. 우리가 만들 프로젝트는 바로 Todo 앱입니다!
프로젝트 개요
우리가 만들 Todo 앱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할 일 목록 표시
- 새로운 할 일 추가
- 할 일 삭제
컴포넌트 구조 설계
리액트의 핵심은 컴포넌트입니다. 우리의 Todo 앱을 다음과 같이 컴포넌트로 나눠봅시다:
TodoBoard: 전체 앱을 감싸는 최상위 컴포넌트TodoItem: 개별 할 일 항목을 표시하는 컴포넌트
코드 구현
1. TodoBoard 컴포넌트
먼저 TodoBoard 컴포넌트를 만들어봅시다.
importReact,{ useState
}from'react';importTodoItemfrom'./TodoItem';functionTodoBoard(){const[inputValue,
setInputValue]=useState('');const[todoList,
setTodoList]=useState([]);constaddItem=()=>{setTodoList([...todoList,
inputValue]);setInputValue('');}return(<div><h2>Todo
List</h2><inputvalue={inputValue}onChange={(e)=>setInputValue(e.target.value)}placeholder="할
일을
입력하세요"/><buttononClick={addItem}>추가</button>{todoList.map((item,
index)=>(<TodoItemkey={index}item={item}/>))}</div>);}exportdefaultTodoBoard;
이 컴포넌트에서 주목할 점:
-
useState를 사용하여 입력값(inputValue)과 할 일 목록(todoList)을 관리합니다. addItem함수는 새로운 할 일을 목록에 추가합니다.-
map함수를 사용하여todoList의 각 항목을TodoItem컴포넌트로 렌더링합니다.
2. TodoItem 컴포넌트
이제 개별 할 일 항목을 표시할 TodoItem 컴포넌트를 만들어봅시다.
importReactfrom'react';functionTodoItem({ item
}){return(<divclassName="todo-item">{item}</div>);}exportdefaultTodoItem;
이 컴포넌트는 props로 전달받은 item을 표시합니다.
3. 스타일 추가
앱의 모양을 개선하기 위해 간단한 CSS를 추가해봅시다.
.todo-item{background-color:#f0f0f0;margin:10px0;padding:10px;border-radius:5px;}
이 CSS를 별도의 파일로 만들고 필요한 컴포넌트에서 import하거나, 인라인 스타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주요 리액트 개념 설명
-
컴포넌트:
TodoBoard와TodoItem은 각각 독립적인 컴포넌트로,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입니다. -
State:
useState훅을 사용하여inputValue와todoList를 관리합니다. 이들은 컴포넌트의 상태를 나타내며, 변경 시 리렌더링을 트리거합니다. -
Props:
TodoItem컴포넌트는itemprop을 통해 표시할 내용을 전달받습니다. 이는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
이벤트 처리:
onChange와onClick이벤트를 사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처리합니다. -
리스트 렌더링:
map함수를 사용하여todoList배열의 각 항목을TodoItem컴포넌트로 변환합니다.
결론
이 간단한 Todo 앱을 통해 우리는 리액트의 핵심 개념들을 실제로 적용해보았습니다. 컴포넌트 구조, state 관리, props 전달, 이벤트 처리, 그리고 리스트 렌더링 등의 개념을 하나의 프로젝트에서 모두 사용해 보았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더 많은 기능(예: 할 일 완료 체크, 수정 기능 등)을 추가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리액트의 강력함을 직접 경험하며 여러분만의 Todo 앱을 발전시켜 나가세요!
다음 글에서는 이 프로젝트를 더욱 발전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액트와 함께하는 여러분의 개발 여정을 응원합니다!
리액트의 핵심: State 이해하기3-
리액트의 핵심: State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리액트 학습 여정의 세 번째 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오늘은 리액트의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stat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tate란 무엇인가?
State는 리액트 컴포넌트 내에서 관리되는 데이터입니다. 이 데이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변경될 때마다 컴포넌트가 다시 렌더링됩니다. 쉽게 말해, state는 컴포넌트의 "기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State가 필요한 이유
리액트는 UI를 효율적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기존의 JavaScript에서는 데이터가 변경될 때마다 수동으로 DOM을 업데이트해야 했지만, 리액트에서는 state가 변경되면 자동으로 관련된 부분만 다시 렌더링합니다.
State 사용하기
state를 사용하는 방법을 간단한 카운터 예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예제에서 주목해야 할 점들:
useState훅을 사용하여 state를 선언합니다.useState(0)는 초기값이 0인 state를 생성합니다.count는 현재 state 값이고,setCount는 이 값을 업데이트하는 함수입니다.- 버튼을 클릭하면
setCount를 호출하여count를 증가시킵니다.
State 사용 시 주의사항
- 직접 수정 금지: state를 직접 수정하지 마세요. 항상
setState함수를 사용하세요.
- 비동기적 업데이트: setState는 비동기적으로 작동합니다. 즉, 호출 직후 즉시 state가 업데이트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객체 state 업데이트: 객체 형태의 state를 업데이트할 때는 전체 객체를 새로 만들어야 합니다.
-
jsxCopy
State vs 일반 변수
state와 일반 변수의 주요 차이점:
- 렌더링 트리거: state가 변경되면 컴포넌트가 다시 렌더링되지만, 일반 변수는 그렇지 않습니다.
- 값 보존: 컴포넌트가 다시 렌더링되어도 state 값은 보존되지만, 일반 변수는 초기화됩니다.
- 비동기 업데이트: state 업데이트는 비동기적으로 일어나지만, 일반 변수는 즉시 변경됩니다.
마치며
state는 리액트 애플리케이션의 동적인 데이터를 관리하는 핵심 메커니즘입니다. 올바르게 사용하면 효율적이고 반응적인 UI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이러한 개념들을 활용한 실제 미니 프로젝트를 만들어보겠습니다. 리액트의 세계에서 여러분의 여정이 즐거우시기를 바랍니다!
리액트 시작하기: Replit으로 쉽게 환경 구축하기3
리액트 시작하기: Replit으로 쉽게 환경 구축하기
안녕하세요, 리액트 학습 여정의 세 번째 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오늘은 Replit이라는 온라인 IDE를 사용해 리액트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복잡한 환경 설정 없이 바로 코딩을 시작할 수 있어 초보자에게 특히 좋은 방법입니다.
Replit이란?
Replit(https://replit.com)은 브라우저에서 바로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는 온라인 IDE입니다.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프레임워크를 지원하며, 리액트 프로젝트도 쉽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Replit에서 리액트 프로젝트 시작하기
- Replit 접속하기
- Replit 웹사이트(https://replit.com)에 접속합니다.
- 계정이 없다면 회원가입을 진행합니다.
- 새 Repl 만들기
- 로그인 후, '+ New repl' 버튼을 클릭합니다.
- 리액트 템플릿 선택하기
- 'Create new repl' 창에서 'React.js'를 선택합니다.
- 프로젝트 이름을 입력합니다 (예: "react first day").
- 공개 설정 확인
- 기본적으로 Repl은 공개로 설정됩니다. 필요하다면 'Private'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Repl 생성하기
- 'Creating repl' 버튼을 클릭하여 새 리액트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리액트 프로젝트 구조 살펴보기
Repl이 생성되면 다음과 같은 기본 파일 구조를 볼 수 있습니다:
src/App.js: 메인 리액트 컴포넌트 파일src/index.js: 리액트 애플리케이션의 진입점public/index.html: 기본 HTML 파일
첫 번째 수정해보기
src/App.js파일을 열어봅시다.- 내용을 다음과 같이 수정해보세요:
importReactfrom'react';functionApp(){return(<div><h1>안녕하세요, 리액트!</h1><p>Replit에서 첫 리액트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p></div>);}exportdefaultApp;- 오른쪽의 미리보기 창에서 변경사항이 실시간으로 반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장점
- 즉시 시작: 복잡한 설치 과정 없이 바로 코딩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실시간 미리보기: 코드 변경사항을 즉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협업 용이: 다른 사람과 쉽게 코드를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습니다.
- 어디서나 접근 가능: 인터넷만 있으면 어디서든 프로젝트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Replit을 사용하면 리액트 학습의 진입 장벽을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복잡한 개발 환경 설정에 시간을 쏟지 않고, 바로 리액트의 핵심 개념과 코딩에 집중할 수 있죠.
다음 글에서는 이렇게 만든 리액트 프로젝트에서 컴포넌트를 만들고 props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리액트의 세계를 탐험하는 여러분의 여정을 응원합니다!
2024년 10월 13일 일요일
리액트 핵심 개념: 컴포넌트와 Props -2탄
리액트 핵심 개념: 컴포넌트와 Props
안녕하세요, 여러분! 리액트 시리즈의 두 번째 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오늘은 리액트의 핵심 개념인 컴포넌트(Component)와 prop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개념들을 이해하면 리액트의 강력함을 직접 경험할 수 있을 거예요.
| 시작은 repl.it으로 |
| repl.it |
| 시작합니다. |
컴포넌트: 리액트의 Building Blocks
리액트에서 컴포넌트는 재사용 가능한 UI 조각입니다. 쉽게 말해, 웹페이지의 부품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박스'라는 컴포넌트를 만들어 볼게요.
이렇게 만든 Box 컴포넌트는 다른 곳에서 쉽게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iimport Box from './Box';이렇게 하면 세 개의 동일한 박스가 생성됩니다.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아지고, 관리도 쉬워지죠.
Props: 컴포넌트에 데이터 전달하기
props는 컴포넌트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입니다. 컴포넌트를 함수라고 생각하면, props는 그 함수의 매개변수라고 볼 수 있어요.
이렇게 하면 각 박스에 다른 이름이 표시됩니다. props를 사용하면 동일한 컴포넌트를 다양한 데이터로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동적 데이터 처리
리액트의 또 다른 강점은 동적 데이터 처리입니다. 예를 들어, 버튼을 클릭했을 때 특정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 예제에서는 각 박스에 이름과 번호를 props로 전달하고, 클릭 이벤트도 추가했습니다.
마치며
리액트의 컴포넌트와 props 개념을 이용하면,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동적인 웹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전통적인 웹 개발 방식에 비해 훨씬 효율적이고 유지보수가 쉽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리액트의 상태(State) 관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리액트의 세계에서 여러분의 여정이 즐거우시기를 바랍니다!
리액트 입문: 프론트엔드 개발의 게임 체인저
리액트 입문: 프론트엔드 개발의 게임 체인저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부터 우리는 프론트엔드 개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리액트(React)에 대해 알아보는 여정을 시작하려고 합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고 싶으신가요? 그렇다면 리액트는 여러분이 반드시 알아야 할 기술입니다.
![]() |
| 리액트 |
리액트란 무엇인가?
리액트는 페이스북이 2011년에 만든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입니다. 쉽게 말해, 리액트는 우리가 웹사이트를 만들 때 사용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기존의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할 때보다 더 효율적이고 강력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게 해줍니다.
리액트의 주요 장점
- 자동 업데이트: 리액트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화면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한다는 것입니다. 기존에는 페이지의 내용이 바뀌면 새로고침을 해야 했지만, 리액트는 변경된 부분만 자동으로 업데이트해줍니다.
- 재사용성: 리액트는 코드의 재사용을 매우 중요하게 여깁니다. 이는 개발 시간을 단축시키고, 코드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깔끔한 코드: 리액트는 HTML, CSS, JavaScript를 하나의
파일에서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를 JSX라고 부르며, 코드를 더 깔끔하고
관리하기 쉽게 만들어줍니다.

리액트에서 고려하는 것은 무엇일까?
왜 리액트를 배워야 할까?
프론트엔드 개발 분야에서 리액트의 인기는 날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많은 기업들이 리액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리액트 개발자에 대한 수요도 계속 증가하고 있죠. 리액트를 배우면 다른 유사한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를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리액트의 기본 구조와 간단한 예제를 통해 리액트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리액트의 세계로 함께 떠나볼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