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WebSocket과 HTTP 네트워크 통신방식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WebSocket과 HTTP 네트워크 통신방식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9월 25일 수요일
WebSocket과 HTTP 네트워크 통신방식
WebSocket과 HTTP 네트워크 통신방식
WebSocket과 HTTP는 각각 네트워크 통신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동작하며, 주로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서 두 프로토콜 간의 차이가 중요합니다.
연결방식의 차이 |
1. 연결 방식
- HTTP: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해당 요청에 응답한 후 연결을 종료하는 요청-응답 방식입니다. 연결이 지속되지 않고, 요청이 있을 때마다 새로 연결됩니다. 이는 주기적으로 요청을 보내야 하는 **폴링(polling)**이나 장기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롱 폴링(long polling)**을 필요로 합니다.
- WebSocket: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영구적인 양방향 연결을 유지합니다. 한번 연결이 수립되면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데이터를 자유롭게 주고받을 수 있으며, 연결은 수동으로 종료되기 전까지 지속됩니다.
2. 양방향 통신
- HTTP: 통신은 기본적으로 단방향입니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나서야 응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WebSocket: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여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 없이도 데이터를 즉시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실시간 데이터 교환이 가능합니다.
3. 프로토콜 사용 방식
- HTTP: 클라이언트가 특정 자원을 요청할 때 사용됩니다. 웹 페이지나 API 요청 등에 주로 사용되며, 요청이 완료되면 해당 자원은 서버로부터 전송됩니다.
- WebSocket: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실시간 채팅, 온라인 게임, 실시간 데이터 스트리밍과 같은 경우에 적합합니다.
4. 성능 및 효율성
- HTTP: 매번 요청-응답 후 연결을 종료하는 특성상, 실시간 통신에서는 효율성이 떨어집니다. 자주 데이터를 주고받아야 하는 경우 HTTP 방식은 오버헤드가 커질 수 있습니다.
- WebSocket: 연결이 한 번 이루어지면 지속되므로, 실시간 통신에 매우 효율적입니다. 주기적으로 연결을 새로 생성할 필요가 없어, 오버헤드가 적고 빠른 응답 시간을 제공합니다.
5. 헤더와 프로토콜 전환
- HTTP: 각 요청마다 헤더 정보를 포함해 전송해야 하므로 데이터 전송 효율성이 낮을 수 있습니다.
- WebSocket: 연결 초기에는 HTTP 프로토콜로 핸드셰이크를 하여 WebSocket으로 전환하지만, 이후 데이터 전송 시에는 추가적인 헤더 없이 빠르게 데이터가 오갑니다.
요약
HTTP는 주로 정적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프로토콜이며, 요청-응답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WebSocket은 영구적인 양방향 연결을 제공하므로 실시간 상호작용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